맨위로가기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는 동로마 제국의 유력 귀족 가문 출신으로, 니케아 제국에서 군사적 재능을 발휘하며 신망을 얻었다. 1258년 어린 요안니스 4세의 섭정을 맡아 권력을 장악하고, 그해 크리스마스에 공동 황제로 선포된 후, 1261년 제노바와의 조약을 통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탈환하여 제국의 수도를 수복했다. 그는 수도 회복 후 아들 안드로니쿠스 2세를 후계자로 책봉하고, 어린 요안니스 4세를 폐위시켰다. 그는 라틴 세력을 몰아내기 위해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지만, 동서 교회 통합 정책으로 국내 갈등을 겪었으며, 경제 침체를 가속화시키기도 했다. 미하일 8세는 1282년 셀주크 투르크와의 전쟁 중 사망했으며, 그의 팔레올로고스 왕조는 2세기 가까이 비잔틴 제국을 통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세기 통치자 - 앙리 2세 (키프로스)
    앙리 2세는 1285년부터 1324년까지 키프로스 왕국의 왕이자 명목상의 예루살렘 왕이었으며, 아크레 함락 후 사법 및 행정 시스템 개선에 집중했으나 간질로 통치력이 약화되어 왕위 찬탈 시도가 있었고, 구호기사단의 도움으로 왕위를 되찾았으며 성전기사단을 해체했다.
  • 전제공 - 데스포티스
    데스포티스는 '주인' 또는 '지배자'를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칭호로, 비잔틴 제국에서 황제나 고위 귀족에게 수여되었으며, 이후 발칸 반도의 여러 국가로 확산되어 황실 왕자에게 반자치적인 영지를 수여할 때 사용되기도 하였다.
  • 전제공 - 요안니스 칸타쿠지노스 (데스포티스)
    요안니스 칸타쿠지노스 (데스포티스)는 중세 시대의 군주이자 데스포테스였으며, 관련 자료 부족으로 인해 자세한 정보는 제한적이다.
  • 그리스의 동방 가톨릭교도 -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는 1405년에 태어나 1449년 황제가 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의 위협 속에서 동서 교회의 통합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과 함께 최후를 맞이하며 동로마 제국의 종말을 가져왔다.
  • 그리스의 동방 가톨릭교도 - 이그나티 모스크바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 미니어처 초상화
게오르기오스 파키메레스의 역사 원고에 있는 미니어처 초상화, 14세기 초
이름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
로마자 표기Mikhaēl Doukas Angelos Komnēnos Palaiologos
칭호로마인의 황제 및 전제자
재위 시작1261년 8월 15일
재위 종료1282년 12월 11일
이전 황제보두앵 2세 (라틴 제국)
다음 황제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
니케아 황제 재위 시작1259년 1월 1일
니케아 황제 재위 종료1261년 8월 15일
니케아 이전 황제요안니스 4세 라스카리스
니케아 다음 황제동로마 제국 복원
배우자테오도라 팔레올로기나
자녀이레네 팔레올로기나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
콘스탄티노스 팔레올로고스
에우도키아 팔레올로기나
테오도로스 팔레올로고스
에우프로시네 팔레올로기나
마리아 팔레올로기나
아버지안드로니코스 콤네노스 팔레올로고스
어머니테오도라 앙겔리나 팔레올로기나
왕조팔레올로고스
출생일1224년
출생지니케아 제국
사망일1282년 12월 11일 (58세)
사망지리시마키아 인근 파코미온, 동로마 제국
종교동방 정교회
군사 활동
주요 전쟁펠라고니아
콘스탄티노폴리스 & 갈라타 (1260)
콘스탄티노폴리스 (1261)
프리니차
세테포치
마크리플라기
몽골 침공
네오파트라스
데메트리아스
리카리오의 원정
파르살루스
베라트
군사 활동 관련 참고미하일 8세의 전쟁

2. 생애

니케아 제국의 프랑스인 용병 사령관이었던 미하일 8세는 테오도로스 2세 사후 무자론 암살 사건을 계기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알세니오스 아우트리아노스와 함께 어린 황제 요하네스 4세의 공동 섭정이 되었다.[16] 이후 "데스포테스" 칭호를 얻고, 제노바의 도움을 받아 공동 황제로 즉위하여 1260년 1월 1일 니케아에서 즉위식을 가졌다.[16]

1261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탈환한 후, 아들 안드로니코스 2세를 공동 통치자로 삼고 스스로 로마 황제를 선포했다. 그러나 요하네스 4세의 눈을 멀게 하고 감금한 일로 총대주교 알세니오스로부터 파문당했다.[16]

미하일 8세는 라틴 제국 시대의 관습을 폐지하고 전통적인 의식과 제도를 부활시켰으며, 제국의 영토를 이전 상태로 되돌리고자 했다. 서유럽의 위협에 맞서 마누엘 1세 콤네노스의 전철을 밟지 않도록 대비했다.

1263년 아카이아 공 기욤 2세 드 비엘라르두앵과 강화하고, 1264년 에피로스 데스포타와 화해하여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요새들을 할양받았다. 1265년 맘루크 왕조에 대항하기 위해 일칸국과 동맹을 맺고, 후레구에게 딸 마리아를 시집보내려 했으나, 후레구의 급사로 아바카와 결혼시켰다. 같은 해 킵차크 칸국의 침입을 받았으나, 딸 에우프로쉬네를 노가이 칸에게 보내 동맹을 맺었다. 제노바와 베네치아 공화국 사이에서 균형 외교를 펼치며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그들의 영향력을 줄이려 했다.

교황청과 서유럽 국가들 사이에 쐐기를 박기 위해 1274년 제2차 리용 공의회에서 동서 교회 합동을 성사시켰으나, 정교회 측의 반발을 샀고, 결국 교황 마르티누스 4세로부터 파문당했다. 시칠리아 만종 사건을 선동하여 아라곤의 페드로 3세가 시칠리아를 침공하게 했다.

미하일 8세는 동로마 제국을 재편성하면서 옛 제도를 부활시켰지만, 화폐의 질을 떨어뜨려 경제 침체를 가속화시켰다. 1282년 아바카가 급사하고 마리아가 귀국했으며, 같은 해 테살리아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킵차크 칸국의 노가이 칸이 원군을 보냈으나, 미하일 8세는 트라키아에서 급사했다. 그의 왕조는 이후 2세기 동안 존속하여 로마 제국 역사상 가장 장수한 왕조가 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권력 장악

미하일 8세는 동로마 제국의 유력 귀족 가문인 팔레올로고스 가문 출신으로, 아버지는 대귀족 안드로니코스 두카스 콤네노스 팔레올로고스, 어머니는 알렉시오스 3세의 손녀 테오도라 앙겔리나 팔레올로기나이다.[16] 1204년 제4차 십자군의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전 수 세기 동안 제국을 통치했던 세 개의 황실 가문으로 혈통이 거슬러 올라가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가장 고귀한 가문 출신이었다.

젊은 시절부터 군사적 재능을 인정받아 니케아 제국의 프랑크족 용병 지휘관으로 활동했다.[16] 테오도로스 2세 사후, 궁정 혁명에 가담하여 8세의 어린 황제 요안니스 4세의 섭정이 되었으며,[16] 이후 대공(megas dux) 직함을 거쳐 공동 황제로 선포되었다. 사실상 니케아 제국을 탈취한 셈이었다. 1260년 1월 1일 니케아에서 즉위식을 거행했다.[16]

2. 2. 콘스탄티노폴리스 수복과 제국 재건

1261년 미카일은 베네치아 공화국과 앙숙인 제노바와 조약을 맺고 해군력을 증강하여 재차 콘스탄티노폴리스 탈환에 나섰다. 그해 7월 25일 알렉시오스 스트라테고풀로스가 지휘하는 니케아군은 손쉽게 라틴 제국으로부터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탈환하여 57년 만에 제국의 수도를 수복했다.[2] 당시 소아시아에 있던 미카일은 이 소식을 처음에 믿지 않았다고 한다. 미카일은 3주 후인 8월 15일 수도를 회복한 영예로운 황제로 수도에 입성하였다.

수도 입성 뒤 그는 아들 안드로니쿠스 팔레올로고스를 정식 후계자로 책봉하고 공동 황제였던 어린 소년 요안니스 4세를 같은 해 12월, 실명시키고 마르마라해의 성곽에 유폐시켰다.[16] 이 행위로 인해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아르세니오스에 의해 파문되어 1268년 새 총대주교로 교체될 때까지 파문장은 철회되지 않았다.

미카일은 처음 도시의 방어에 집중하였고 라틴 제국 시대의 관습을 즉각 중단시키고, 동로마의 전통 관습과 제도를 부활시켰다. 1261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수복할 때 그 도시의 인구는 3만 5천 명에 불과했으나 미카일의 치세 동안 꾸준히 복구를 계속하여 7만 명까지 인구가 늘어났다.

2. 3. 외교 정책과 서방과의 갈등

미하일 8세는 시칠리아의 왕권을 노리는 만프레디, 프랑스의 성왕 루이 등과 외교 교섭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결국 로마 교황과 협력하게 되었다. 앙주의 샤를은 만프레디와 콘라딘을 제거하고 남부 이탈리아를 장악한 후, 동로마 제국의 주요 적대 세력으로 부상했다. 샤를은 라틴 제국의 보두앵 2세와 교황 클레멘스 4세와 연합하여 동로마 제국에 대항했다.[8]

미하일 8세는 교황청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1263년경부터 동서 교회 통합을 위한 교섭을 시작했다. 또한 제노바베네치아 공화국과의 교섭을 통해 양측의 경쟁 관계를 이용하고자 했다. 한편, 앙주의 샤를은 1270년 11월 십자군을 이끌고 동로마 제국 침공을 시도했으나, 폭풍우로 인해 실패했다.[8]

교황 그레고리오 10세와 미하일 8세는 1274년 제2차 리옹 공의회에서 동서 교회 통합을 선언했다. 그러나 이 정책은 동로마 제국 백성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종교적 갈등을 심화시켰다. 특히 수도사들과 아르세니오스 총대주교의 추종자들(아르세니테파)은 연합에 강력하게 반대했다.[9] 미하일 8세는 반대 세력을 설득하고자 노력했으나, 결국 강경책을 사용하게 되면서 많은 이들이 처벌을 받았다.[9]

1266년 베네벤툼 전투 이후 앙주의 샤를은 미하일 8세의 새로운 위협으로 떠올랐다.[8] 샤를은 탈리아코초 전투에서 콘라딘을 격파하고 시칠리아 왕국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했으며, 1267년 비테르보 조약을 통해 라틴 제국 복원을 위한 지원을 확보했다.[8] 미하일 8세는 교황의 지지를 약화시키기 위해 노력했고, 프랑스 왕 루이 9세에게 호소하여 샤를을 튀니지 십자군에 참여시켰다. 루이 9세 사후 샤를은 다시 동로마 제국 공격을 계획했으나, 폭풍우로 인해 함대가 파괴되면서 좌절되었다.[8]

1281년, 교황 마르티누스 4세는 미하일 8세를 파문하고, 리옹 공의회에서 이루어진 연합을 파기했다. 샤를은 대규모 군대를 준비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 공격을 계획했다. 미하일 8세는 아라곤의 페드로 3세 등과 동맹을 모색했으나, 샤를의 동맹 세력에 비해 부족했다.[11]

1282년 3월 30일 시칠리아 만종 반란이 발발하면서 샤를의 계획은 차질을 빚게 되었다. 미하일 8세는 이 반란에 간접적으로 관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이후 아라곤의 페드로 3세가 시칠리아를 점령하면서 샤를의 동로마 제국 침공 계획은 완전히 좌절되었다.

2. 4. 동방 정책과 제국의 한계

미카일 8세의 외교 정책은 주로 서유럽에 집중되었기 때문에, 소아시아 지역에서 튀르크 세력의 확장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동로마 제국의 재정은 화폐의 질을 떨어뜨려 경제 침체를 가속화시켰다. 이는 후계자인 안드로니쿠스 2세 시대에 소아시아 상실의 원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

2. 5. 말년과 죽음

1282년 12월 11일, 미카일 8세는 셀주크 투르크에 대한 원정을 떠났다가 트라키아의 파코미오스라는 작은 마을에서 죽었다.[13] 제위는 아들이자 공동 황제인 안드로니쿠스 2세에게 돌아갔다. 그의 시신은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돌아가지 못하고 셀림브리아에 묻혔다.[13]

3. 가족 관계

배우자테오도라 두카이나 바타치나 (요한네스 3세의 손녀, 1253년 결혼)
정식 자녀
사생아



미스트라스의 페리블렙토스 수도원에 있는 소실된 비잔틴 미니어처 복제품으로, 미하일 8세와 테오도라, 콘스탄티노스를 묘사하고 있다.

4. 평가

미하일 8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수복하여 동로마 제국을 부활시킨 황제이지만, 실제로는 군사적인 업적보다는 외교적인 능력으로 제국을 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16] 그는 거의 모든 유럽 세력이 제국에 적대적이었을 때 뛰어난 외교술을 발휘하여 위기를 극복했다. 그러나 동서 교회 통합 정책은 동로마 주민들의 심각한 반발을 초래하여 제국의 안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16]

또한, 미하일 8세의 외교 정책은 서유럽에 집중되어 소아시아 전역을 점령한 튀르크 세력과 몽골의 확장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였다. 콘스탄티노폴리스 복구, 외교 활동, 상비군 유지 등으로 인한 재정 낭비는 후계자인 안드로니코스 2세 시대에 소아시아 상실의 원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

1274년 제2리용 공의회에서 성사된 동서 교회 통합은 정교회 측의 큰 양보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제국 내에서 통합에 반대하는 정교도들의 격렬한 저항을 불러일으켰다. 결국 미하일 8세는 교황 마르티누스 4세로부터 파문을 당하기도 했다.

미하일 8세는 동로마 제국을 재건하면서 옛 제도를 부활시켰지만, 기존 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에는 소극적이었다. 또한 화폐 가치를 하락시켜 경제 침체를 가속화시킨 점도 비판받는다.

결론적으로, 미하일 8세는 외교적 역량을 통해 제국을 위기에서 구했지만, 종교 통합 시도와 서방 중심 외교, 경제 정책 실패 등으로 인해 제국의 장기적인 안정에는 기여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통치는 권위주의적이었으며, 종교 정책은 사회적 갈등을 심화시켰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참조

[1] 서적 History of the Byzantine and Greek Empires from 1057–1453 https://books.google[...] William Blackwood & Sons
[2] 서적 The Late Byzantine Arm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3] 학술지 Greco-Latin Relations on the Eve of the Byzantine Restoration: The Battle of Pelagonia – 1259 https://www.jstor.or[...] 1953
[4] 학술지 Greco-Latin Relations on the Eve of the Byzantine Restoration: The Battle of Pelagonia-1259 https://www.jstor.or[...]
[5] 웹사이트 Michael VIII Palaeologus https://www.britanni[...] 2018-07-22
[6] 서적 Pre-Ottoman Turkey: A General Survey of the Material and Spiritual Culture and History American Council of Learned Societies
[7] 서적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the Middle Ages: 1250–1520
[8] 서적 Gregoras
[9] 서적 The Decline of Medieval Hellenism in Asia Minor and the Process of Islamization from the Eleventh through the Fif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 서적 Byzantine Naval Forces 1261–1461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16-09-20
[11] 서적 Byzantium and Venice: A Study in Diplomatic and Cultural Relations
[12] 학술지 Cretans in Byzantine foreign policy and military affairs following the Fourth Crusade https://www.academia[...]
[13] 학술지 The tombs of the Palaiologan emperors https://www.cambridg[...]
[14] 서적 Byzantine Naval Forces 1261–1461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15] 웹사이트 Michael VIII Palaeologus Byzantine emperor https://www.britanni[...]
[16] 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